기사 메일전송
부동산 PF 부실 우려, 한국경제 '시한폭탄'
  • 편집국
  • 등록 2023-12-27 18:32:41

기사수정
  • 금융당국은 "관리 가능"만 강조…고금리·경기부진 속 위기감 고조


부동산·건설 대출 부실에 따른 금융위기 불안감이 내년 한국 경제의 최대 화두가 될 전망이다. 특히 일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는 위험한 '시한폭탄'으로 여겨진다.


25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금융권 부동산PF 대출잔액은 134조3000억원으로 6월 말보다 1조2000억원 늘었고, 연체율은 2.42%로 2분기 대비 0.24% 포인트 늘었다. 업권별 연체율은 증권이 13.85%로 가장 높고 저축은행 5.56%, 여신전문금융회사 4.44%, 상호금융 4.18%, 보험 1.11% 순이다.


제1금융권의 부동산PF 연체율은 0%에 가깝지만 전체 건설업종의 대출 연체액과 연체율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연체액은 1051억원으로 지난해 말(524억원)의 2배에 이른다. 2년 전(330억원)과 비교하면 3배가 넘는다. 연체율도 2021년 말 0.21%였다가 2022년 말 0.26%에서 올해 11월 0.45%까지 급상승하고 있다. 부동산PF의 경우 선순위 보증 대출이 이뤄져 부실 위험이 크지는 않지만 부동산 경기가 단기간 내 살아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은행권은 선제적 리스크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문제는 지방·중소형 저축은행의 부동산PF 부실화다. 한국신용평가의 '저축은행업계 사각지대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신용등급이 없는 저축은행 47개사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1.3%에서 올해 6월 말 6.5%까지 약 5배 상승했다. 이들의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PF 비중은 67.9%로, 부동산 경기가 나빠지면서 관련 여신의 건전성 지표가 상승한 것이다.


부동산PF 관련 연쇄 부실 우려가 커지지만 금융 당국은 기본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당국은 그동안 PF 대주단을 통한 만기연장·이자유예 등 조치로 연착륙을 시도해 왔다. 최근에는 사업성 제고가 어려운 부실 사업장에 대해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저축은행·여전업권의 'PF 부실채권 정리펀드'를 통한 사업장 재구조화도 추진 중이다.


고금리 기조와 부동산 경기 부진이 이어지는 한 부동산·건설 대출 부실로 인한 금융위기 불안감은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LG경영연구원은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향후 기준금리가 인하되더라도 이를 선반영해 시중금리가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자금시장 상황은 도리어 악화할 수 있다"며 "섣부른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의 국채 발행 증가와 상업용 부동산 대출 부실화, 한국의 대규모 채권 만기 도래와 부동산PF 부실화 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재택치료 중 우리 아이 아프면? 상담·…
서울 안심소득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